본문 바로가기
경제.비즈니스

자녀 상속세 면제 한도액 및 상속세율표 [계산법]

by 나만 알고싶어요 2024. 9. 23.

 

[📌목차]

     

    자녀 상속세 면제 한도액과 더불어 상속세율과 계산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상속세는 상속받은 재산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으로, 상속 재산을 어떻게 평가하고 어떤 세율을 적용받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버튼을 눌러 자녀 상속세 계산이 가능합니다. [계산기]

     

     

     

    📌 상속세란?

    ✅ 상속세는 피상속인(재산을 물려주는 사람)이 사망했을 때, 상속인(재산을 받는 사람)이 물려받은 재산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상속세는 상속받은 재산의 총액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한 후, 남은 금액에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됩니다.

     

    상속세는 국가에 납부하는 세금으로, 사망한 피상속인이 가진 모든 재산(부동산, 금융자산, 유가증권 등)에 대해 과세됩니다.

     

     

     

    📌 상속세율표

    ✅ 상속세는 상속 재산의 과세표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 (상속 재산 가액) 세율 누진공제액
    1억 원 이하 10% 0원
    5억 원 이하 20% 1천만 원
    10억 원 이하 30% 6천만 원
    30억 원 이하 40% 1억 6천만 원
    30억 원 초과 50% 4억 6천만 원

    ※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상속 재산이 많을수록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되며, 누진공제액을 차감하여 최종 상속세를 산출합니다.

     

     

    📌 상속세 면제 한도액 [절세전략]

    ✅ 자녀 상속세 면제 한도액과 절세 전략은 아래 내용과 같습니다.

     

     

    🔎 면제 한도액

    • 기본 공제: 5억 원
      • 상속세 공제 중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모든 상속인은 상속받은 재산이 5억 원 이하일 경우 상속세를 납부하지 않습니다.
    • 배우자 공제: 법적으로 인정된 배우자에게 상속되는 재산은 별도로 최대 30억 원까지 공제됩니다.
      • 배우자가 생존해 있는 경우, 5억 원의 기본 공제에 추가로 최대 30억 원까지 공제 가능합니다. 이 경우 전체적으로 최대 35억 원까지 상속세가 면제됩니다.
    • 기타 인적 공제
      • 미성년자 공제: 상속받은 자녀가 미성년자인 경우, 1년당 1천5백만 원씩 만 19세가 될 때까지 추가 공제됩니다.
      • 장애인 공제: 장애인이 상속받는 경우, 1년당 1천만 원씩 80세까지 추가 공제됩니다.
      • 동거 주택 상속 공제: 피상속인과 함께 10년 이상 거주한 상속인이 상속받은 주택의 경우, 최대 6억 원까지 추가 공제됩니다.

     

     

    🔎 절세 전략

    • 생전 증여 활용: 상속세보다 증여세가 낮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생전에 자녀에게 미리 재산을 증여하여 상속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10년마다 증여세 비과세 한도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보험 가입: 상속세를 납부할 자금이 부족할 경우, 생명보험에 가입하여 사망 시점에 보험금을 통해 상속세를 납부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동거주택 상속 공제 활용: 피상속인과 함께 거주한 자녀가 10년 이상 동거한 주택에 대해서는 최대 6억 원까지 추가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재산 분산: 부동산, 주식 등 재산을 여러 자녀에게 분산하여 상속함으로써 과세표준을 낮추고, 개별 상속 재산에 대해 낮은 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 상속세 계산법

    • 상속 재산의 총액 산정: 피상속인이 사망 시점에 가지고 있던 모든 재산의 총액을 산정합니다. 부동산, 금융자산, 주식, 사업체, 기타 재산 등이 포함됩니다.
    • 비과세 재산 및 공제액 차감: 상속세 면제 한도액과 공제액을 차감합니다. 배우자 공제, 미성년자 공제, 장애인 공제, 동거주택 상속 공제 등이 해당됩니다.
    • 과세표준 산정: 상속 재산의 총액에서 공제액을 차감한 금액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 상속세율 적용: 과세표준에 따라 상속세율을 적용하여 상속세를 계산합니다. 이때, 각 구간의 누진공제액을 차감하여 최종 상속세액을 산출합니다.

     

    🔎 예시 계산

    ✅ 피상속인이 자녀에게 15억 원의 재산을 상속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때, 상속 재산의 공제액으로 기본 공제 5억 원과 배우자 공제 10억 원이 적용된다고 가정하면, 과세표준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상속 재산의 총액: 15억 원
    • 공제액: 기본 공제 5억 원 + 배우자 공제 10억 원 = 15억 원
    • 과세표준: 15억 원 - 15억 원 = 0원
    • 상속세액: 과세표준이 0원이므로, 상속세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다른 예로, 상속 재산이 20억 원이고, 기본 공제 5억 원과 배우자 공제 10억 원만 적용되는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1. 상속 재산의 총액: 20억 원
    2. 공제액: 기본 공제 5억 원 + 배우자 공제 10억 원 = 15억 원
    3. 과세표준: 20억 원 - 15억 원 = 5억 원
    4. 상속세액 계산:
      • 5억 원 이하이므로 20% 세율 적용.
      • 상속세액 = 5억 원 × 20% - 1천만 원(누진공제액) = 9천만 원

    결과적으로, 이 경우 상속세액은 9천만 원이 됩니다.

     

     

     

     

     

    📌 상속세 신고 시 주의사항

    ✅ 상속세는 피상속인의 사망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고 및 납부를 해야 합니다. 만약 해외에 거주하는 상속인이 있다면, 이 기간은 9개월로 연장됩니다. 상속세를 제때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되므로, 법적 절차를 준수하여 정확하게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속세는 개인의 재산을 자녀에게 물려줄 때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입니다. 상속세 면제 한도액을 포함한 절세 전략을 확인 후 활용해 보세요.

     


     

    자녀 상속세 면제 한도액 및 상속세율표 [계산법]